본문 바로가기
about Humanities

프로페셔널의 조건 by 피터드러커

by hoyony 2024. 12. 1.

리더십은 그 자체로는 좋은 것이 아니며 바람직한 것도 아니다. 사실상 리더십은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그러므로 중요한 것은 리더십 그 자체가 아니라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리더십인가 하는 점이다.

1) 효과적인 리더십의 기초는 조직의 사명을 깊이 생각하고, 그것을 규정하고, 또 그것을 면확하고 뚜렷하게 설정하는 것이다.

올바른 지도자와 틀린 지도자를 구별하는 것은 그들이 세운 목표에 달려 있다. 그가 현실의 제약으로 인해 수용하는 타협 ㅡ그것은 정치적, 경제적, 재정적 문제 또는 종업원 문제 등과 관련된 것인데 ㅡ이 그의 사명 내지는 목표와 양립할 수 있는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그것들로부터 빗나가는 것인가 하는 것이 그가 효과적인 리더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그가 몇 가지 기본적인 기준들을 엄수하는가(그갓들을 자기 자신의 행동으로 표현하는가), 또는 그 기준들을 그 자신에게도 제대로 적용하는가 하는 것이 그가 진정한 추종자를 거느린 리더인가, 아니면 단지 위선적인 기회주의자들만 데리고 있는 리더인가를 결정한다.

2) 효과적인 리더십 발휘에 두번째로 중요한 사항은, 리더는 리다십을 계급과 특권으로 보는 곳이 아니라 책임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효과적인 리더들이 무분별하게 관대한 경우는 거의 없다. 그러나 일단 일이 잘못되었을 때에는 ㅡ일이란 항상 잘못되기 마련이다 ㅡ그들은 다른 사람들을 책망하지 않는다.
효과적인 리더는 다른 어느 누구도 아닌 자신이 최정적인 책임을 진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동료들이나 부하직원들의 능력이 뛰어나다고 해서 위협을 느끼지 않는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틀린 리더들은 동료와 부하직원들의 힘을 두려워한다. 때문에 그들은 유능한 동료나 부하직원이 있으면 즉시 제거해 버린다.

3) 마지막 요건은 신뢰를 확보하는 일이다. 리더에 대한 유일한 정의는 추종자를 거느린 사람이다라는 것이다. 어떤 리더를 신뢰하기 위해서 반드시 그를 인간적으로 좋아해야 할 필요는 없다. 도한 그와 의견을 같이할 필요도 없다. 신뢰라는 것은 리더가 언행을 일치하고 있다는 데 대한 확신이다. 리더의 행동과 그 자신이 공헌한 신념들은 일치되어야만 한다.

'about Humanit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숙론 by 최재천  (0) 2024.12.15
군주론 by 마키이벨리(김상근 감수)  (0) 2024.12.01
최고의 선택 by 김형철  (0) 2024.03.03
티핑포인트 by 말콤 글래드웰  (1) 2024.02.25
대화의 정석 by 정흥수  (0) 2024.02.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