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bout Humanities

티핑포인트 by 말콤 글래드웰

by hoyony 2024. 2. 25.

60년대 말 스탠리 밀그램은 '사람들이 어떻게 서로 연결되어 있는가?'라는 소위 '좁은 세상' 문제에 대한 답을 발견하는 실험을 수행.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 사는 160명에게 소포를 보냈다. 소포에는 직장은 보스턴, 집은 매사추세츠주 샤론에 있는 한 증권 중개인의 이름과 주소가 적혀 있었다. 대부분의 소포가 5~6단계를 거쳐 증권중개인에게 도착. 이 실험에서 분리의 6단계 six degrees of separation라는 개념 도출.

대부분의 사람들은 특별하고 광범위하고 다양한 친구들을 가지고 있지 않다. 한 유명한 연구에서 심리학자들은 맨하튼 북부의 딕맨 공공주택단지에 사는 사람들에게 이 단지에서 가장 친한 친구들을 말해보라고 했더니 88%가 같은 건물에 사는 사람들이었고 절반은 같은 층.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같은 나이와 인종을 선택. 근접성이 유사성을 이기는 것. 유타대학 학생대상 실험에서는 함께 무언가를 하는 사람과 친구가 되는 경우가 서로 비슷한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과 친구가 되는 경우만큼 많다. 즉, 우리가 주의를 기울여 친구를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우리는 작은 물리 공간을 공유하는 사람들과 어울린다.

분리의 6단계에서 모든 단계가 동일하지 않음.
증권중개인 집에 도착한 24통의 소포 중 16통은 제이콥스라는 의류 상인이 전달. 나머지 소포들은 브라운과 존스라는 두 사람을 통해 전달. 결국 증권중개인이 받은 소포의 절반은 이 세명에 의해 전해졌다. 아주 작은 수의 사람들이 몇 단계를 통해 다른 모든 사람과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사람들은 그 특별한 소수를 통해 세상과 연결.

케빈 베이컨의 6단계 법칙
최근 버지니아대 컴퓨터공학자가 텔레비젼 영화나 주요 영화에 출연했던 25만 명의 배우들에 대해 케빈 베이컨과의 평균 연결단계를 계산해보았더니 평균 3단계 이하. 할리우드 배우를 '연결성'순으로 나열해 보니 베이컨은 고작 669위. 반면 마틴 쉰은 다른 모든 배우와 2.63681 단계로 연결되어 베이컨 보다 650단계 더 높은 순위. 엘리엇 굴드는 더 짧은 평균 2.63601 단계로 연결. 연결도 역대 1위는 로드 스타이거. 존 웨인은 60년 동안의 배우 생활 중 179편이라는 엄청난 수의 영화를 찍었지만 연결도가 2.7173으로 116위. 존 웨인의 작품들 중 절반 이상이 서부영화. 스타이거는 오스카수장작 및 B급 영화도 출연. 38편의 드라마, 12편의 범쥐영화와 코미디, 11편의 스릴러, 8편의 액션영화, 7편의 서부영화, 6편의 전쟁영화, 4편의 다큐멘터리, 3편의 공포영화, 2편의 SF , 1편의 뮤지컬영화에 출연. 역사상 가장 연결도가 높은 배우가 된 이유는 그가 온갖 다른 세계들과 하위문화들, 틈새시장, 다양한 수준들을 이리저리 오갔기 때문.
커넥터의 경우 많은 다른 세계에 바을 걸치는 능력은 그들의 성격에 내재한 무언가 호기심, 자신감, 사교성, 에너지가 조합되어 작용.

상황의 법칙
정직성 같은 근본적 특성, 혹은 일원화된 특성이 아니라는 것. 정직성 같은 특성은 상황에 상당히 영향. 아이가 주어진 상황에서 속임수를 쓸지는 부분적으로는 아이의 지능, 연령, 출신 가정 등에, 부분적으로는 상황 자체의 특성과 아이의 상황과의 관계에 달려 있다.
우리 모두는 성격에 관해서는 자연스럽게 절대적인 측면에서  생각한다. 한 사람이 특정한 면이 있거나 없다는 식. 하지만 연구결과는 이런 사고는 오류이며 우리가 내재적 특성이라는 측면에서만 생각하고 상황의 역할을 잊어버리면 인간 행위의 실제 원인을 오해하게 된다고 말한다.
귀인오류fundamental attribution error : 인간이 다른 사람의 행동을 해석할 때 항상 기본적인 성격적 특성을 과대평가하고 상황과 맥락의 중요성은 과소평가. 우리는 사건을 설명할 때 그 사건이 일어난 맥락이 아니라 행위자의 '기질'과 연결지어 설명하려 한다.
성격은 서로 느슨하게 결합되고 특정한 때의 환경과 맥락에 좌우되는 일단의 습관, 성향, 관심.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관된 성격을 가진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의 환경을 매우 능숙하게 통제하고 있기 때문.

콜로라도 입양 프로젝트
70년대 입양 봬려는 덴버 지역의 임산부 245명을 모집하고 새 가정으로 입양 보내려는 여성들의 아이들을 추적관찰.  입양아들은 거리에서 무작위로 뽑은 두 명의 어른들과 공통점이 없는 것과 다름 없이 16년 동안  그들을 키우고, 먹이고, 입히고, 책을 읽어주고, 가르치고, 사랑해준 양부모와 성격이나 지적인 기량 측면에서 유사성이 없었음. 어떤 환경적 영향이건 부모와 큰 관계가 없다는 것.  큰 관계가 있는 건 또래의 영향이라고 주장. 언어는 수평적으로 습득하는 기술. 아이들이 다른 아이들로부터 배우는 것이 집에서 배우는 것만큼 언어 습득에 중요. 아이의 성격과 인격을 형성하는 데 미치는 환경적 영향이 바로 또래집단이라고 주장.

댓글